본문 바로가기

영화

(영화 '써니' 리뷰 속편 1) 써니 멤버들의 상징성: 칠공주의 꿈과 현실

반응형

(영화 '써니' 리뷰 속편) 써니 멤버들의 상징성: 칠공주의 꿈과 현실

영화 '써니'는 단순히 학창 시절의 우정을 그리는 데 그치지 않습니다. 1980년대 대한민국의 여성들이 어떤 꿈을 꾸었고, 25년 후 그 꿈들이 현실 속에서 어떻게 변주되거나 좌절되었는지를 '써니' 멤버들 개개인의 삶을 통해 섬세하게 보여줍니다. 이 칠공주는 각기 다른 모습으로 그 시절 여성들의 다양한 초상을 대변합니다.

찬란했던 꿈, 그리고 가혹한 현실의 무게

'써니' 멤버들은 각자 고유한 개성과 함께 뚜렷한 꿈을 가지고 있었습니다. 하지만 어른이 되어 다시 만난 그들의 삶은 과거의 꿈과는 사뭇 다른 현실을 보여줍니다.

  • 춘화: 카리스마 넘치는 리더였던 춘화는 성공한 사업가가 되었지만, 시한부 인생이라는 운명 앞에 놓입니다. 그녀의 삶은 열정과 리더십으로 빛났지만, 결국 유한한 삶 앞에서 인간의 한계를 마주하는 비극적인 리더의 모습을 상징합니다. 성공과 동시에 찾아온 삶의 끝은, 우리가 가진 모든 것을 다 이뤘다 해도, 결국 죽음 앞에서는 무력할 수밖에 없다는 것을 일깨워줍니다.
  • 수지: 신비롭고 아름다운 미인이었던 수지는 외로움과 상처 속에 살아갑니다. 과거의 충격적인 사건 이후 사회에 제대로 적응하지 못하고 고독한 삶을 살죠. 그녀는 겉모습의 아름다움 뒤에 숨겨진 내면의 고통과 사회 부적응을 보여주며, 세상의 편견과 상처가 한 개인의 삶을 얼마나 황폐하게 만들 수 있는지 드러냅니다.
  • 장미: 쌍꺼풀 수술에 목숨을 걸었던 외모 지상주의자 장미는 현실에서 고달픈 보험 판매원이 되어 있습니다. 외모에 대한 욕망이 강했던 그녀지만, 현실의 벽 앞에서 자신의 꿈을 제대로 펼치지 못하고 끊임없이 고객들에게 '을'의 자세로 머리를 숙여야 합니다. 그녀의 모습은 현실의 고달픔 앞에서 외모에 대한 욕망조차 사치가 되어버린 보통의 여성을 대변합니다.
  • 진희: 거침없는 욕쟁이였던 화통한 성격의 진희는 남편의 눈치를 보는 소극적인 주부가 되어 있습니다. 과거의 욕설이 주체할 수 없는 해방감을 상징했다면, 현재의 그녀는 결혼 생활의 억압 속에서 자신의 목소리를 잃어버린 여성의 모습을 보여줍니다. 그녀의 변화는 결혼과 가정이라는 틀이 한 여성의 개성을 어떻게 억누를 수 있는지를 보여주는 듯합니다.
  • 금옥: 문학소녀이면서 동시에 괴력의 소유자였던 금옥은 시어머니와 남편에게 눌려 사는 평범한 주부가 됩니다. 그녀의 지성과 내면에 담긴 힘은 현실 속에서 발휘되지 못하고, 이상과 현실의 괴리 속에서 좌절된 꿈을 상징합니다. 그녀의 삶은 80년대 여성이 가진 잠재력이 사회적 제약 속에서 어떻게 묻혀버렸는지를 보여줍니다.
  • 복희: 미스코리아를 꿈꾸던 소녀 복희는 현실에서는 가정이 몰락한 채 힘들게 살아갑니다. 화려하고 아름다웠던 꿈과는 달리, 초라하고 빈곤한 현실에 처한 그녀의 모습은 꿈을 향해 나아가기 힘든 현실의 벽과 그로 인한 빈곤의 대물림을 상징하며 가장 가슴 아픈 부분 중 하나입니다.

1980년대 여성들의 초상: 이상과 현실의 간극

'써니' 멤버 개개인의 삶은 1980년대 한국 여성들이 가질 수 있었던 꿈과 그 꿈을 가로막았던 현실적인 제약들을 상징합니다. 그들은 각자 다른 방식으로 미래를 꿈꾸었지만, 사회적인 편견, 경제적 어려움, 가부장적 문화 등으로 인해 그 꿈들이 온전히 실현되지 못하고 변질되거나 좌절되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영화는 이런 인물들의 현재를 통해, **단순한 향수가 아닌 '그 시절 여성들이 겪어야 했던 현실의 무게'**를 동시에 보여줍니다. 찬란했던 과거의 빛 아래 드리워진, 어른이 된 후 마주한 삶의 고달픔과 아쉬움이죠.


마치며: 칠공주의 꿈은 어디로 갔을까?

'써니' 멤버들의 이야기는 우리에게 질문합니다. 과연 우리는 학창 시절 꾸었던 꿈과 현재의 모습 사이에서 얼마나 가까워졌을까요? 25년이라는 시간 동안 우리가 잃어버린 것은 무엇이고, 그럼에도 불구하고 지켜내고 있는 것은 무엇일까요?

이 영화는 단순히 과거를 회상하는 것을 넘어, 현재를 살아가고 있는 우리 자신과 우리 시대 여성들의 삶을 돌아보게 하는 거울이 되어줍니다. 칠공주의 꿈과 현실을 통해, '어른'이 된다는 것의 복잡미묘한 의미를 다시 한번 곱씹어보는 것은 어떨까요?

아래는 본문으로 이동합니다!

>>>>>>>>>>>>>>>>

영화 '써니' 속에서 발견한 나의 철없던 10대

 

영화 '써니' 속에서 발견한 나의 철없던 10대

영화 '써니' 속에서 발견한 나의 철없던 10대, '써니' 속 유행에 목매던 내가 어른이 되어 발견한 '진짜 나'누구나 한 번쯤은 유행에 휘둘리던 시절이 있었을 겁니다. 저 역시 그랬습니다. 특히 철

note8940.tistory.com

 

 


 

반응형